티스토리 뷰
2025. 10. 아트인컬쳐 "FOCUS 안의 풍경, 김혜련전, 우손갤러리" 김신식 예술평론
2025. 9. 아트인컬쳐 "차별화 새바람, 승부수는 로컬!"
2025. 8. 아트인컬쳐 "special feature Galleries & Artists Highlight"
2025. 9. 25. artasiapacific "Walking Their Own Paths: Women Calligraphers in Contemporary Taiwan
Walking Their Own Paths: Women Calligraphers in Contemporary Taiwan
To explore diverse perspective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nd contemporary calligraphy, the Taoyuan Museum of Fine Arts presents a landmark exhibition of Taiwanese women calligraphers across the past century. PARTNERSHIP WITH THE TAOYUAN MUSEUM OF FINE
www.artasiapacific.com
2025. 9. 18. 뉴스핌 "베를린 숲에 10년간 스스로를 가둔 김혜련, '숲이 내는 소리'를 화폭에 담다." 이영란 기자
2025. 8. 24. 뉴시스 "김혜련, 훈민정음-반구대 연작까지...서울 대구 '정적의 소리'전, 박현주 기자
2025.8. 23. 컬처램프 "작가 김혜련이 침묵의 자연에서 건져올린 <정적의 소리> 들" 함혜리 기자
2025. 8. 22. 매일경제 "숲 한가운데서 찾았다...하늘, 바람, 별의 언어" 김슬기 기자
2025. 6.11. ARTnews "Korean Art History Infiltrates New York's Galleries and Museums" by EANA KIM
Korean Art History Infiltrates New York’s Galleries and Museums
Three exhibitions in New York trace Korea’s modernist roots, diasporic memory, and contemporary resonance.
www.artnews.com
2025. 4. 2. 조선일보 "일사일언 K 미술 새 주역 '서예' 국립현대미술관 배원정 학예사
2024.11.21. 서울문화투데이 "<신간> 김혜련 작품집, 예술과 암호-반구대의 고래" 김연신 기자
2024.10.31. 쿨투라 "복숭아 정원에 피어난 한국 근현대미술: 대만 횡산 서법예술관" 김명해 기자
2023. 6. 4. 아시아경제 "갤러리로 변신한 한국거래소...영감과 사유의 공간으로" 황윤주 기자
2022. 6. 21. 경기도정신문 "양주시립미술관 '2022 simple 기획전' 개회" 김상범 기자
2022. 6. 3. 대한경제 "새발무늬토기에 담긴 조형 암호- 담대한 필묵의 왈츠" 이경택 기자
2022. 3. 월간미술 "현대성의 시간축을 재설정하는 검은 선의 발현" 임근준 미술 이론가
2022. 2. 아트인컬쳐 "FOCUS 천지자연을 쓰다, 김혜련전" 이동국 예술의 전당 수석큐레이터
2022. 1. 14. SBS News 문화현장 "문자와 그림, 세계를 잇다... 김혜련 개인전" 이주상 기자
2022. 1. 11. 조선일보 "한국거래소, 전시장이 되다. 28일까지 김혜련 훈민정음전" 정상혁 기자
2022.1.10. 연합뉴스 "한국거래소 '그림을 쓰다: 훈민정음' 김혜련 개인전" 윤선희 기자
2021. 7. 월간미술 비평 " 김혜련 예술과 암호: 고인돌의 그림들" 고충환 미술비평
2021. 6.3. 이데일리 "고인돌이 감춰둔 암호화 기술... 김혜련 예술과 암호1" 오현주 기자
2020. 11. 26. 조선일보 "맨발의 문화재청장... ㄱ 의 순간 전에서 신발벗고 무용을" 허윤희기자
2020. 11. 13. 조선일보 "ㄱ 의 순간 트롯아리랑엔 꽃다발이, 한글의 향엔 탄성이" 정상혁 기자
2020.10.14. 조선일보 “고대 유물에서 한글을 캔다. 붓을 든 고고학자” 정상혁기자
2020.10.9. 조선일보 “ㄱ의 순간. 현대미술의 거장들이 창조한 ㄱ 의 순간 "정상혁기자
2018.10.9. 아시아경제 “신석기 문양으로 도배된 국립중앙박물관” 이종길기자
2018.10. 8. 연합뉴스 “국립중앙박물관2층에 들어선 신석기토기와 그림” 박상현기자
2018.10. 8. 우리문화신문 “예술적 관점에서 본 한국문화의 코드실험전” 한성훈기자
2018.10. 8. 뉴시스“예술과 암호 한국선사미술의 암호: 빗살무늬” 이수지기자
2017. 4. 6. 조선일보 " 김환기부터 이완까지 '국현'이 고른 야심작" 김윤덕 기자
2017. 3. 17. 노컷뉴스 "양푸둥 영상작품, 배가 하늘로 간 까닭은?" 김영태기자
2017. 2.1. Märkische Allgemeine 메르키쉐 알게마이네 “Bilder mit geheimnisvollen Zeichen ” by Ann Brünink
2015. 7. 20. 노블레스 Noblesse "디올의 예술적 유대감" 안미경기자
2015. Magazine Kultur Korea 매거진 쿨투어 코리아 “ Vom Schmerzen der Teilung 분단의 아픔에 대해” by Anne Schneppen
2015. 4. 9. Darmstadt 다름슈타트 “Wenn die Tasse tanzen 찻잔들이 춤을 추면” by Julia Reichlet
2015. 2. 13. 연합뉴스 “'분단'화두 김혜련 화가 주독한국문화원서 전시회” 고형규기자
2014.10.13. 매일경제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다…김혜련, 판문점서 전시“ 이향휘기자
2014. 9. 9. 아주경제 작가 김혜련 "도자기 제기하나가 우주처럼 다가왔다" 박현주기자
2014. 9. 8. 연합뉴스 "우주처럼 다가온 제기 김혜련 개인전“ 장하나기자
2014. 7.17. Quest France,“Expo d’e’te’ rafrai^chissante a` l’Usine Utopik” by Emilie Michel
2013. 8. 5. 노컷뉴스 “정전 60년 그 상처와 치유, 색채로 표현” 김영태기자
2013. 7. 27. 동아일보 “고미석의 시로 여는 주말, 휴전선” 고미석기자
2013. 7.16. 중앙일보 “포탄에 조각난 캔버스... 갈기갈기 찢긴 마음 읽히죠” 정재숙기자
2013. 6. 25. 동아일보 “분단의 핏빛 생채기… 회화는 소리없이 외친다” 고미석기자
2013. 6. 23. 국민일보 “김혜련 회화, 전준호 영상 끝나지 않은 전쟁 60년” 이광형기자
2013. 6. 23. 뉴시스 “김혜련 그림 전준호 영상 끝나지 않은 전쟁 60년” 유상우기자
2011. 12. 2. 한겨레신문 “내게로 와 별이 된 감꼭지” 정상영기자
2011.11. 29. 헤럴드경제 “검은 화폭에 담아낸 존재의 흔적, 숨결” 이영란기자
2011.11.23. 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작가 김혜련이 들려주는 그녀의 작품 이야기” 오소미기자
2011.11. 20. 노컷뉴스 “김혜련, 죽음 분단을 넘어 별을 그리다” 김영태기자
2011. 5. 21. 노컷뉴스 " 그 찬란한 시, 그림으로 피어나니“ 김영태기자
2011. 5. 아트인컬쳐 개인전 리뷰 “자연 속에 새겨진 시간기호” 이선영 미술평론
2011. 4. 19. 동아일보 “그림은 그림일 뿐” “의미-상징 담아야” 고미석기자
2011. 4. 12. 문화일보 “분단, 그 아픔.” 신세미기자
2011. 4. 2. 노컷뉴스“DMZ 풍경, 찬란한슬픔의색채” 김영태기자
2009. 5. 퍼브릭아트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볼케이노” 박래경 미술평론
2009. 5. 아트인컬쳐 개인적 리뷰 “회화와 서사의 육질에 대하여” 김정락 미술평론
2009. 4. 21. 헤럴드경제 “화산 폭발하듯-장엄한 제주” 이영란기자
2008. 11.미술세계 “메타모포제-한국의 비극” 고영희기자
2008. 10. 2. 서울신문 “뤼비통 전시관에 한국화가 첫입성” 이종수기자
2008. 9. 아트인 컬쳐 “어둠 속에 빛나는 재료의 결” 장승연 미술평론
2008. 7. 퍼브릭아트 “김혜련의 고귀한 회화적 현장” 윤우학 미술평론
2007.12.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손성진 미술평론
2007. 11. 3. 헤럴드경제 “어둡지만 그윽한 향기” 이영란기자
2007. 10. 30. 파이낸셜뉴스 “화가는 늘 불안하고 처절하다.” 박현주기자
2007. 10. 18. 서울경제 “200호 대작에 담긴 사과의 생명력” 장선화기자
2007. 10. 15. 연합뉴스 “서양화가 김혜련이 그린 가을사과” 조채희기자
2007.4.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이추영 미술평론
2007. 2. 9. 한국일보 “포도송이에서 삶의 희망을 보다” 오미환기자
2007. 2. 7. 문화일보 “포도의 생명력 화폭에” 신세미기자
2007. 2.1. 국민일보 “알알이 핀 생명력” 전정희기자
2007.1.31. 경향신문 “난 지지않아요, 저 생명력처럼” 윤민용기자
2007.1.30. 서울경제 “과일을 통해 본 삶과 죽음” 장선화기자
2007.1.29. 헤럴드경제 “포도이야기” 이영란기자
2007.1.28. 파이낸셜뉴스 “미안하다. 포도야, 그리고 고맙다” 박현주기자
2007.1.26. 매일경제 “정물 속 시적 상상력” 한배선기자
2006.11.3. Die Welt 디 벨트 "Drei koreanische Künstler in Wilmersdorf“ by Christiane Meixner
2006. 5. 월간조선 탑클래스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시적 상상력” 이진숙 미술평론
2006.1.7. Die Welt 디 벨트"Kunsthalle Dresden “ by Andrea Linkenheil
2005.12.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윤우학 미술평론
2005. 11. 23. Tagesspiegel 타게스슈피겔 “Gross ist der Schuh 커다란 신발” by Jens Hinrichsen
2003.11.7. 이코노미스트 “유화와 난의 이색적 만남” 이주헌 미술평론
2003. 8.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진휘연 미술평론
2003.7.3. 문화일보 “목가적 독일풍경에 흠뻑” 신세미기자
2003.6.25. 조선일보 “내 가슴 속으로 뛰어든 풍경” 정재연기자
2003. 2. 27. 주간조선 “그리움과 예술의 표상 우리 어머니” 유나니기자
2003. 2. 12. 조선일보 “내 마음 속 어머니의 방문을 열고” 정재연기자
2000. Magazine Sylt 2000 매거진 쥘트 2000 "Bilder stärker als Worte 언어보다 강한 그림“ by Angelika Scholz
2000. 11.4. Darmstädter 다름슈테터 "Werk im Umbruch Heryun Kim bei Netuschil 변혁의 작품 네투쉴의 김혜련“ by Roland Held
2000.10.17. Main 마인 “Drang zur Kargheit Die Koreanerin Heryun Kim bei Netuschil” 절제에의 충동 네투쉴 화랑의 한국화가 김혜련” by Horst Roland
2000. 3. 월간미술 개인전 리뷰 “김혜련전” 고충환 미술평론
2000. 1. 20. 한국일보 “사물의 본질 투명하게 보여줘” 송영주기자
2000. 1. 19. 내외경제 “재독화가 김혜련 서울서 첫 작품전” 이영란기자
2000. 1. 17. 중앙일보 “섬세한 층의 변화로 환상적 느낌” 기선민기자
1998.5.19. Kieler Nachrichten 킬러나흐리히텐 “ Spannungsfeld der Kulturen 문화 간 긴장감 가득한 곳” by Hannes Hansen
1998.4,4. Holsteinicher Courier 홀슈타인니셔 쿠리어 "Malerisch in zwei Welten wandeln 두 회화 세계 속을 산책하는“ by Gabriele Vaquette
1998.2.11. Darmstäter 다름슈테터 "Die Macht des Malers 화가의 힘“ by Roland Held
1994.1.29. Tagesspiegel 타게스슈피겔 "Im Zeichen von Jing und Jang 음양의 기호에서“ by Elfi Kreis
1994.1.25. Berliner Morgenpost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 “Wenn Innenräume farbige Lebendigkeit erhalten 공간이 색채의 활력을 얻을 때” by Renne Schipp
- Total
- Today
- Yesterday

